본문 바로가기
정신분석, 뇌과학, & 사회학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징과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

by oneirokey 2025. 3. 10.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징과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

창의적인 사람들은 기본모드 네트워크를 다른 사람들보다 자연스럽게 활용한다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징

창의적인 사람들은 기존의 틀에 갇히지 않고 새로운 방식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단순히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개념을 재구성하고 색다른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능력을 가진다. 심리학자 스콧 배리 카우프만과 캐롤린 그레고어의 연구에 따르면, 창의적인 사람들은 복잡하고 모순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들은 내향적이면서도 외향적이며, 집중력과 자유로운 사고를 동시에 유지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성향은 창의적인 발상과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무의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창의성의 원천은 종종 무의식에서 비롯된다. 낭만파 시인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무의식이 창작의 핵심 요소이며, 꿈을 통해 영감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많은 예술가와 과학자들은 꿈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거나 중요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의식적인 사고뿐만 아니라 무의식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이를 창조적인 과정에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무의식은 일상적으로 받아들인 다양한 정보와 경험을 정리하고 조합하여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따라서 창의적인 사람들은 무의식의 힘을 신뢰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갖춘다.

 

창의적 사고는 뇌의 여러 영역을 활성화한다

창의성을 발휘하는 순간, 뇌의 다양한 영역이 동시에 활성화된다. 특히 기본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는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본모드 네트워크는 우리가 특정한 과제에 집중하지 않을 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으로, 과거 경험을 떠올리거나 미래를 상상하고,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개념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작동한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기본모드 네트워크를 다른 사람들보다 자연스럽게 활용하며, 의식적으로 집중하지 않을 때도 뇌가 활발히 사고를 지속하도록 훈련되어 있다. 이들은 다양한 경험과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축적한 후, 이를 직관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린다. 또한 기본모드 네트워크와 실행 네트워크(Executive Network)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며, 필요할 때 무의식적 사고를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모순적인 특성을 가진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논리적이면서도 직관적이고, 현실적이면서도 이상적인 사고를 한다. 이들은 기존의 틀을 고집하지 않고 새로운 관점을 수용하며 유연한 사고를 한다. 또한, 한 가지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는 성향을 보인다. 새로운 환경과 자극을 통해 창의성을 확장하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사고방식을 개발한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틀을 깨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실패를 성장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가진다.

내향적이면서도 외향적 이며,  집중력과 자유로운 사고를 동시에 유지 하는 특징을 보인다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

무의식을 활용하는 창의성 개발 방법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의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의식은 우리의 경험과 기억을 정리하고, 서로 다른 정보를 연결하여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상력을 자유롭게 발휘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어린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키우는 것처럼, 어른들도 상상놀이를 통해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꿈을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면 무의식이 보내는 메시지를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직관을 신뢰하며, 꿈이나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명상과 마음챙김 또한 무의식을 활성화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명상은 기본모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무의식적 사고와 창의성의 발달을 촉진한다. 매일 일정 시간 동안 명상을 하면서 생각을 흘려보내는 연습을 하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새로운 경험과 환경 조성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환경에서의 경험은 무의식에 새로운 자극을 제공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한다.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사색하는 것도 창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에 따르면, 자연 속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면 창의성이 향상된다고 한다.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을 경험하거나, 새로운 장소를 방문하는 것은 창의적인 사고를 자극하는 좋은 방법이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도 창의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시각을 얻는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식이 결합될 때, 기존에 없던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창의적 활동 습관화

창의적인 사고는 연습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 예술, 글쓰기, 음악, 문제 해결 활동에 꾸준히 참여하면 무의식적 창의성이 강화된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꾸준히 자신을 표현하는 활동을 하면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습관을 가진다. 일정한 시간 동안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등의 창의적 활동을 실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한 인큐베이션(Incubation) 전략을 활용하면 창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인큐베이션 전략이란, 특정 문제에 대해 너무 깊이 고민하기보다는 잠시 다른 활동을 하면서 무의식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맡기는 방식이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때 즉각적인 답을 찾기보다, 한동안 그 문제를 무의식에 맡겨두고 시간이 지나 해결책이 자연스럽게 떠오르도록 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결론: 무의식의 힘을 활용해 창의적인 삶을 살자

창의적인 사람들은 무의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다양한 경험과 열린 사고를 바탕으로 창의성을 키워나간다.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무의식과 연결되는 시간을 갖고,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며, 창의적 활동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의식의 힘을 인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창의적인 사고를 키우는 핵심 열쇠이다. 창의적인 사고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훈련과 환경 조성을 통해 개발할 수 있다. 무의식이 주는 통찰과 직관을 신뢰하고, 새로운 시도와 실험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가 창의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1. Kaufman, S. B., & Gregoire, C. (2016). Wired to create: Unraveling the mysteries of the creative mind. TarcherPerigee.
  2. Coleridge, S. T. (1816). Biographia Literaria. Rest Fenner.
  3. Raichle, M. E., & Snyder, A. Z. (2007). A default mode of brain function: A brief history of an evolving idea. NeuroImage, 37(4), 1083–1090.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07.02.041
  4. Jung, C. G. (1953). The collected works of C.G. Jung: Vol. 8.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Beaty, R. E., Benedek, M., Silvia, P. J., & Schacter, D. L. (2016). Creative cognition and brain network dynamics.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20(2), 87-95. https://doi.org/10.1016/j.tics.2015.10.004
  6. Dijksterhuis, A., & Meurs, T. (2006). Unconscious thought can increase post-choice satisfa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2(6), 627-631. https://doi.org/10.1016/j.jesp.2005.10.008
  7. Simon, H. A. (1996).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 MIT Press.
  8. Schooler, J. W., Ohlsson, S., & Brooks, K. (1993). Thoughts beyond words: When language overshadows insigh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2(2), 166–183. https://doi.org/10.1037/0096-3445.122.2.166
  9. Sternberg, R. J. (1999).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Kounios, J., & Beeman, M. (2014).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insigh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5(1), 71-9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213-115154